LDL 콜레스테롤 오메가3 상관관계 총정리

LDL 콜레스테롤 오메가3 상관관계 총정리

오메가3는 혈중 중성지방을 유의하게 낮추는 반면, LDL 콜레스테롤은 제품 성분과 개인 체질에 따라 다르게 반응합니다. DHA 비중이 높을수록 LDL 수치가 소폭 오를 수 있고, EPA 위주 제품은 LDL에 중립적이거나 변화가 적은 경향이 보고됩니다. 다만 오메가3가 LDL 입자를 더 크고 덜 유해한 형태로 바꾸고, 작은 LDL(small dense LDL)을 줄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점이 중요합니다.

오메가3와 지질 변화

오메가3(EPA·DHA)는 간의 VLDL 생성과 분비를 억제하고 말초 조직에서 중성지방 사용을 촉진해 혈중 중성지방을 낮춥니다. 이 과정에서 총지질 운반 흐름이 바뀌며 LDL 수치가 일부 변동할 수 있으나, 변화의 질이 핵심입니다.

LDL 수치 vs LDL 질

오메가3 복용 후 LDL 수치가 약간 오르는 경우가 있어도, LDL 입자 크기가 커지고(패턴 A), 동맥경화와 연관이 큰 작은 LDL(패턴 B)이 줄어드는 양상이 흔합니다. 위험도는 단순 LDL 수치보다 작은 LDL 비중, 비HDL-콜레스테롤, ApoB 등 입자 수 지표가 더 잘 반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EPA와 DHA의 차이

– EPA 위주: 중성지방 감소 효과가 뚜렷하며 LDL 변화는 중립적이거나 제한적입니다. 심혈관 고위험군에서 장기 복용 시 임상적 재발 감소가 관찰된 사례들이 있습니다.

– DHA 포함 혼합형: 중성지방은 잘 낮추지만 일부에서 LDL 수치가 소폭 상승할 수 있습니다. 다만 동시에 LDL 입자 크기를 키워 상대적 위험도를 낮추는 경향이 보고됩니다.

LDL이 오르기 쉬운 경우

– 기저 중성지방이 높은 경우(중성지방이 크게 떨어지며 LDL 전환이 동반되는 패턴)

– 유전적 요인(예: 특정 ApoE 유전형)으로 지질 운반이 민감한 체질

– 고탄수·고지방 식단, 비만·인슐린저항성 등 대사 이상이 동반된 경우

실전 관리 팁

– 지질검사 읽기: LDL-C만 보지 말고 비HDL-C, ApoB(가능 시), 중성지방, non-HDL/HDL 비율을 함께 확인합니다.

– 제품 선택: LDL 상승이 신경 쓰인다면 EPA 함량이 높은 제품으로 전환을 고려합니다.

– 용량·기간: 6~8주 단위로 동일 조건에서 재검해 추세를 봅니다. 단기간 수치 변동만으로 판단하지 않습니다.

– 생활습관: 정제 탄수·과잉 열량·야식 감소, 수면·운동 병행이 오메가3의 지질 개선 효과를 크게 돕습니다.

– 병용 요법: 고LDL이 지속되면 의사의 판단하에 스타틴·에제티미브 등과 병용을 검토합니다.

권장 섭취와 형태

– 건강기능식품: 일반적으로 1일 EPA+DHA 합 1,000mg 전후로 시작해 식후 복용을 권장합니다.

– 고중성지방 치료 목적: 의료용(처방) 오메가3는 보통 2–4g/일을 사용하므로, 이 범주는 반드시 의료진 지시에 따릅니다.

– 형태 차이: rTG/TG, EE(에틸에스터), FFA(자유지방산) 등 제형에 따라 흡수·복용감이 다를 수 있으나, 핵심은 충분한 EPA+DHA 용량과 꾸준한 복용입니다.

자주 있는 오해 정리

– “오메가3가 LDL을 올려서 해롭다?” 일부에서 LDL 수치가 오를 수 있으나, 동시에 작은 LDL이 줄고 큰 LDL 비중이 늘어 위험도는 개선될 수 있습니다. 전체 위험은 입자 ‘수와 크기, 기능’까지 함께 봐야 합니다.

– “LDL이 조금 올랐으니 중단해야 한다?” 먼저 입자 지표(가능 시 ApoB), 비HDL-C, 중성지방 변화를 함께 확인하고, EPA 위주 전환·생활습관 보강 후 재검하는 단계적 접근이 바람직합니다.

주의사항

항응고제·항혈소판제 복용 중, 수술 전후, 출혈 성향이 있는 경우에는 복용 전 전문가 상담이 권장됩니다. 위장 불편·비린 트림이 있으면 식사 직후·저녁 복용과 충분한 수분 섭취가 도움이 됩니다. 임신·수유, 특정 질환 관리 중이라면 용량·제품 선택을 의료진과 상의하십시오.

LDL 콜레스테롤 오메가3 상관관계 결론

오메가3는 중성지방과 VLDL을 낮추고 LDL 입자 질을 유리하게 바꾸는 경향이 있어, LDL 수치의 단편적 상승만으로 유해하다고 단정하기 어렵습니다. LDL-C, 비HDL-C, ApoB(가능 시), 중성지방을 함께 모니터링하고, 개인 체질과 목표에 맞춰 EPA·DHA 비율과 복용 전략을 조정하는 것이 합리적인 해석과 관리 방법입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