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당근마켓 광고 쿠폰을 준다길래 테스트 삼아서 한 번 진행을 해봤습니다.
가게를 운영하는 건 아니지만 홍보를 할 업체는 고르면 얼마든지 많죠.
건당 얼마씩 받는 조건으로 한번 광고를 진행해봤는데 결론은 폭망이었습니다.
동네 가게를 홍보하는 조건이 아니면 그리 괜찮은 효과는 나오지 않더군요.
1만원을 충전하면 5천원 무상 광고캐시를 지급해준다고 해서 1만5천원으로 광고를 진행해봤었고 결과부터 말씀드리면 1만5천원을 써서 얻은 클릭은 총 31클릭이었습니다.
당근마켓 광고 상세
- 비용 : 14,449원
- 노출수 : 12,801회
- 클릭수 : 31회
- 클릭률 : 0.25%
- 광고형식 : 홈 피드
전국적으로 테스트를 해 본 거라서 클릭률은 상당히 처참했습니다.
서울경기권으로 싹 진행을 해봤고 강남쪽이 제일 비싸다고 하길래 강남만 빼놓고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14,449원을 써서 총 31클릭이 나왔으니 클릭당 단가는 대략 466원이었습니다.
진짜 비효율의 극치죠.
저는 클릭당 100원 넘는 광고는 잘 하지 않는데 당근마켓에서는 클릭당 단가를 조정할 수가 없고 하루 예산만 설정할 수 있었기 때문에 단가를 낮출 수 없었습니다.
광고를 진행할 계획이라면 클릭당 단가를 어떻게 낮춰야 하는지 고민을 많이 해보셔야겠습니다.
첫날은 클릭당 단가가 대략 200원대 초반으로 나왔었는데 노출 지역을 많이 확대하고 일일 예산을 올렸더니 갑자기 클릭당 단가가 2배 이상 올라버렸습니다.
이 부분도 잘 확인하셔야겠습니다.
다른 분들의 후기를 보면 클릭당 대략 100원 정도로 나온다고 하니 아마도 저는 너무 많은 지역을 대상으로 광고를 돌려서 효율이 떨어진 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아니면 비용이 비싼 경기나 서울의 특정 지역이 포함되어 있어서 그랬을 수도 있습니다.
서울에 광고경쟁이 치열한 동네에 제 광고가 꼽사리로 같이 나가다보니 광고비가 쏙 빨린 것 같은데 1만원으로 좋은 경험했다 생각하고 있습니다.
클릭이 제일 많이 일어났던 지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였고 그 다음으로 시흥시, 의정부시, 안산시 상록구, 인천 중구, 고양시 일산동구 였습니다.
경기도에서 총 18클릭, 서울에서 총 9클릭, 인천에서 4클릭이 나왔었으며 클릭률이 가장 높았던 지역은 고양시 일산동구로 1.87%를 찍었습니다.
특히 일산동구의 백석2동은 클릭율 25%를 기록하였고 중산동은 5.89%를 기록하였는데 워낙 표본이 적었기 때문에 단순 참고만 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클릭당 단가를 살펴보면 가장 높게 나온 금액이 600원이었습니다.
수원이나 인천, 서울, 성남, 안산, 군포, 안양, 화성시 등이 600원으로 찍혀있었습니다.
단가가 200원대로 그나마 낮았던 곳은 서울시 성동구, 은평구, 관악구, 영등포구, 인천시 부평구, 성남시 수정구 등이었습니다.
그 외엔 400원에서 600원대로 찍혀있었습니다.
당근마켓 광고 위치
광고방식은 홈 피드와 검색 결과 2가지가 있습니다.
홈 피드는 검색을 하는 중간중간 지역광고라고 껴있는 방식이며 검색 결과는 특정 상품이나 키워드를 검색했을때 가장 상단에 내 광고를 보여주는 방식입니다.
저희 동네는 휴대폰 성지라 불리는 업체들이 검색 결과 광고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미용실이나 피트니스에서도 사용하는 걸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건 클릭당 단가가 얼마나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 비슷비슷하지 않을까 싶은데 효율이 가장 궁금합니다.
당근에서 중고물품은 많이들 검색하겠지만 미용실이나 헬스를 잘 검색하진 않을테니까요.
휴대폰은 많이들 검색하는 키워드이니 광고효과는 꽤 괜찮을 것 같긴 합니다.
요즘은 캠핑장비도 많이 거래하는 편이니 그쪽 카테고리로 광고를 하는 것도 나쁘진 않을 것 같습니다.
중고물품 중에서 사람들이 많이 거래하는 제품이 뭐가 있는지 생각해보시고 그쪽으로 광고를 진행해보시면 괜찮은 효과 볼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심사기간
광고를 진행하다가 문구를 변경하거나 지역을 추가하면 그때마다 심사가 진행됩니다.
심사기간은 그리 길지 않았고 거의 1시간 이내로 다 적용이 되었습니다.
순식간에 바로 적용된 적도 있었고 1시간정도 기다렸다가 수정이 된 적도 있었는데 대체적으로 피드백은 빨랐습니다.
타겟팅
예전에는 어땠는지 모르겠지만 제가 이번에 광고를 진행했을때는 성별 및 연령을 설정할 수 있었습니다.
노출지역과 성별, 연령까지 다 타겟팅을 잡고 광고를 진행할 수 있어서 헛 돈이 빠져나가는 건 막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너무 어린 친구들은 빼고 50대 이상도 제외하고 진행한 광고였는데 매출로 이어진 건은 하나도 없어서 아쉬웠습니다.
31클릭 중에서 하나라도 결과가 나왔다면 좋았겠지만 테스트했던 품목이 워낙 난해했기 때문에 구매로 이어지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아쉬운 점
위에서도 말했듯이 제가 직접 클릭당 단가를 설정할 수 없다는 게 제일 아쉬웠습니다.
1클릭당 70~80원정도로 설정이 가능했다면 아무리 노출이 되지 않았더라도 그렇게 계속 단가를 맞춰놓고 지역을 넓혀가며 광고를 테스트해 봤을 겁니다.
그리고 URL을 내 마음대로 설정할 수 없다는 게 아쉬웠습니다.
보이는 주소와 연결되는 주소를 지정할 수가 없어서 상세페이지로 넘어가도록 한다던지 URL주소가 너무 긴 경우 이를 그대로 보여줘야하기에 광고페이지가 깔끔하지 못했습니다.
단축URL로 한 번 바꿔서 주소를 올리는 수 밖에 없었는데 URL설정을 자유롭게 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이는 제가 전문가모드로 하지 않고 간편모드로 광고를 설정했기 때문에 제대로 된 기능을 활용하지 못 한 부분도 있습니다.
전문가모드로 들어가면 입찰가(CPC)를 직접 설정할 수 있고 URL도 랜딩페이지 연결이 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
입찰가는 최소 100원부터 10원 단위로 입찰이 가능하다고 나와있습니다.
전문가모드는 PC에서만 셋팅을 할 수 있다고 하는데 진작에 알았더라면 저도 전문가모드로 셋팅을 했을텐데라는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어쨌거나 이번에 잠깐 맛을 봤으니 다음에 제대로 광고를 진행할 아이템이 생기면 그때는 전문가모드로 다시 한 번 예산 빡세게 설정해서 진행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때는 제대로 된 효율을 보여드리겠습니다^^